Nano-Bio Optics Lab.
  • Home
  • Hongje Jang
    • My activities
    • About music
    • About book
  • member
    • Alumni
  • Research
  • Publications
  • Contact

Argent Moon - Insomnium (2021)

3/18/2022

 
Picture
Argent Moon - Insomnium (2021)
Insomnium은 가장 확실한 입지를 다진, 아직까지는 실패한 적 없는 완벽한 멜로딕 데스메탈 밴드라 생각한다. 1997년 결성, 핀란드 출신, 캔들라이트 레코드 소속, 미미한 멤버 교체 등 이 밴드는 도무지 흠잡을 곳이 없다. 2002년 발매된 첫 풀렝쓰 앨범을 시작으로 이번에 이야기하는 2021년 가장 최근 'EP' 앨범까지, 완성도나 수준이 떨어지는 음반이 단 하나도 없다.
물론 음악이 좋고 나쁨은 매우 주관적인 영역이지만 인솜니움의 경우에는 사뭇 다르다. 무엇보다 많은 종류의 멜로딕 데스가 속도와 파괴성, 공격성, 야성적인 느낌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과 다르게, 인솜니움은 서정성을 극대화했으며 어쿠스틱과의 조화 역시 뛰어나다. 
소위 '트루' 메탈을 고집하는 청자들에게 어쿠스틱이나 클린보컬은 볼트모트와도 같이 터부시되는 객체에 불과하다. 하지만 알세스트(Alcest)를 비롯해 여러 밴드들이 서정성이라는 감성과 데스가 절대적으로 유사함을 보여주곤 했다. 심지어 데스(Death)의 음악이나 더욱 극단적인 아노렉시아 널보사(Anorexia Nervosa)의 경우에도 서정적이고 비통하며 애환에 들어찬 음악적 요소는 극단과 공격, 절규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는 것을 수없이 증명해 왔다.
만약, 이 증명들이 올바르다면 Insomnium은 해답에 가장 가까운 밴드다.
Picture
Niilo Sevänen (b,v)
Jani Liimatainen (g,clean v)
Markus Vanhala (g)
Markus Hirvonen (d)
Ville Friman (g, clean v)

단 네 곡으로 이루어진 EP 앨범이지만, EP로 치부하기에는 충만감이 상당하다. 닐로의 보컬은 언제나 묵직하며 감성적인 익스트림을 보여주며, 2019년 합류로 메탈씬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던, 소나타 악티카(Sonata Arctica)와 케인스 오퍼링(Cain's Offering)의 야니 리마타이넨(Jani Liimatainen)은 분명 송라이팅과 멜로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마커스 반할라(Markus Vanhala)는 어떤가. 이미 같은 핀란드의 멜로딕 데스 밴드이자 국내에서도 상당한 인기가 있는(?) 옴니움 개더럼(Omnium Gatherum)에서의 활동을 병행중이다. 

은빛 달이라는 의미의 Argent Moon은 앨범 전체적인 분위기를 관통하는 거대한 대상이다. 이에 관련된 단편 소설의 챕터를 구성하듯, Conjurer(마술사), Reticent(과묵한 자), Antagonist(대적자), 그리고 Wanderer(방랑자)로 구성된 흐름은 트랙 이름 만으로도 빠져든다. 무슨 말이 필요할까.
​(물론 이 네 곡은 옴니버스식 구성이며 컨셉 앨범은 아니다)

​Insomnium은 앨범 자켓만 앞에 띄워두고 들여다보며 음악을 듣는것 만으로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빠져들어 취할 수 있다.
Track Listing

1. The Conjurer
2. The Reticent
3. The Antagonist
​4. The Wanderer

Comments are closed.

    Archives

    September 2022
    August 2022
    May 2022
    April 2022
    March 2022

Proudly powered by Weebly
  • Home
  • Hongje Jang
    • My activities
    • About music
    • About book
  • member
    • Alumni
  • Research
  • Publications
  •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