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o-Bio Optics Lab.
  • Home
  • Hongje Jang
    • My activities
    • About music
    • About book
  • member
    • Alumni
  • Research
  • Publications
  • Contact

I'm Fine - Wine from Tears (2022)

9/8/2022

 
그림
앨범 자켓 이미지부터... 완벽하게 서정적인 러시아의 멜로딕 둠 메탈 밴드 Wine from Tears의 신보가 굉장히 오랜만에 나왔다. 2009년 첫 앨범이 발매된 이후, 하나의 싱글이나 EP도 없이 조용히 지내다 2013년 두 번째 앨범이 발매된다. 첫 앨범 타이틀인 through the eye of a mad부터 다음 앨범 glad to be dead까지, 제목만으로도 둠Doom이 뚝뚝 묻어 떨어지는 탁월함..

이번에 나온 세 번째 앨범 역시 첫 곡에서부터 빠져든다. 사실 둠이나 스토너를 듣다 보면 굉장히 디프레스되거나 어딘가 한 곳 꽉 막힌 것처럼 질식할 듯 숨막히기도 하고, 나른나른 잠이 오는 경우가 많다. 음악에 문제라기보다는 평소 주로 즐겨 듣는 장르가 멜파워, 멜데스, 심블랙, 프록, 젠트 부류인 만큼 템포가 느리고 노트 사이에 공백이 많고, 또 음마다 톤이 길고 무거우면 쉽사리 몰입하기 어렵기도 하다.

이런 나도 아주 좋아하는 밴드가 있다면 역시 알세스트Alcest다. 아직도 그들의 Souvenir d'un autre monde나 Écailles de Lune를 처음 들었던 그 순간의 느낌이 생생하다. Wine from tears 역시 다소(혹은 매우) 생소하거나 낯선 밴드일지도 모르지만, 오랜 기간을 공들여 한 장을 앨범을 내는 만큼 확실하다. 오히려 그 오랜 기간을 이들의 정체성 만큼이나 눈물의 포도주에 앨범을 담가 진한 적갈색의 물방울이 뚝뚝 떨어질 정도로 숙성시켜서 만드는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감성적이며 어둡다.
그림
그림
Igor Andreyev (d)
Alexander Kurdryashov (g)
Alexey Nesterov (v, g)
Denis Khodyrev-Velizhanin (b)
Evgenia Nesterova (k)

기본적으로 러시아 로컬 위주로 활동하다보니 다른 여러 밴드와 겸업을 하는 등의 활동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만큼 정보가 한정적이며 밴드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기는 조금 어렵다. 사실 이 앨범이 무려 9년만에 발매된 만큼, 이야기는 계속 있어왔다. 정확히는 나름 합리적이고 일정한 주기로 앨범을 발매하기 위해, 약 4년 전 정식 릴리즈 되었어야 했는데, 여러 이유로 엉켜버리며 지연되었다.
최근 몇년간은 전 지구적으로 온갖 사건들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으니, 그 중 어떤 이유 때문에 커다란 문제가 생겨났을지는 궂이 따져보지 않아도 상관없을듯 싶다.

​
그림

개인적으로 이번 앨범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은 첫 곡인 Whales swim up이다. 

고래라는 생명체 자체가 지구에 머물렀던 포유류 중 가장 거대한 종이라고 한다. 인간이 지구와 공유하는, 우리에게는 길고, 행성에게는 짧은 시간동안 그 거대한 생명체와 함께 살아간다는 사실은 매혹적이다.

고래에 대해서는 최근 드라마 등에서도 상징적이고 몽환적이며 매혹적인 대상으로 다뤄져서 이전보다도 더 동경의 대상으로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것 같다. 

이 곡은 2019년 공개되었으니 최근의 시류와는 구분되는 독립적인 모티브와 감성이라 생각한다.

사실 둠 메탈Doom metal하면, 굳이 퓨너럴Funeral 계열로 넘어가지 않더라도 울창한 숲이나 말라죽은 나무, 이끼로 뒤덮힌 틈새와 내려앉은 눈, 균열이 생겨 맺힌 상이 만화경처럼 비산하는 얼음이 대표적으로 그려진다.
결국, '고래'라는 대상은 고전적인 둠 메탈에는 생소하다. 가사를 한번 쭉 읽어봤으면 싶은데, 마이너한 장르에 마이너한 밴드이며 마이너한 노래여서인지 아직 찾지 못했다. 
Track Listing

1. Whales Swim Up
2. Cotard's Delusion
3. The Point of No Return
4. No Future
5. (R)evolution Anthem
6. My Heart Will Stop at Sunday
7. The Orphan
8. In Harmony with the Nature
9. Insignificant
10. All for the Sake Anna 

전체 앨범은 일할 때 듣기 좋다. 다소 마음이 먹먹해지는 감이 있지만 어차피 일 하면 마음은 먹먹해지는 법

The Sick, The Dying...And the Dead! - Megadeth (2022)

9/2/2022

 
그림
...?!
아니 이번 앨범 선공개 곡들로 살포시 들어보고 기대하지 말자 기대하면 상처받을지도 몰라 이 형님들은 이미 충분하셨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번 앨범 엄청나다! 모던해진 레코딩으로 기록된 건 내가 기대하고 기대하던 그때의 메가데스의 음악이었다. 레드 데드 리뎀션이 떠오르는듯한 디스토피아적이면서도 모래바람이 불어오는 황야가 떠오르기도 하고 금속이 철컥철컥대는 그런 음악!
그림
메가데스의 영혼이 곧 데이브 머스테인Dave Mustaine 아닐까. 
머스테인의 보컬은 오히려 최근보다 더욱 메가데스가 되어버렸다. She wolf나 symphony of destruction, hanger18 같은 노래를 듣는 것 같은 정도의 쩌는 퇴폐성.

멤버 구성은 잘 모르겠다. 2015년 앙그라Angra에서 활동하던 키코 루레이로Kiko Loureiro가 메가데스로 이적한 것도 깜짝 놀랐었는데, 2016년 소일워크Soil work에서 활동하던, 그 외에도 수많은 밴드에서 활동하는 더크 베르뷰렌Dirk Verbeuren이 이적한 것도 놀라웠다.  현재는 베이스로 제임스 로멘조James LoMenzo가 탈퇴 이후 다시 합류한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 앨범의 녹음에는 참여하지 않은듯 하다. 물론, 앞으로의 투어나 공연에서는 로멘조가 하겠지..? 좀 더 쩌는 베이시스트만 딱 들어오면 메가데스 제2의(?) 전성기가 또 시작될 듯도 싶은데. 차라리 이번 앨범 녹음한 테스타먼트Testament의 스티브 디조르쥬Steve DiGiorgio가 아예 이적하면 어떨까.
다른 말 할 것도 없이 좋다. 드럼 좋고, 기타리프랑 솔로는 더좋고, 심지어 가사마저 좋다!
Junkie라는 6번 트랙을 링크해본다. 이게 가장 좋아서 한 것은 아니다. 그냥 뭘 들어도 좋다 솔직히.

마지막 두 곡은 커버곡인데 특히 새미 헤이거Sammy Hagar의 This planet's on fire는 쩔어버린다.
올 가을 내내 들어도 만족할 앨범! 
안그래도 요즘 Rust in peace앨범을 듣고 걸어다니는데 이걸로 바꿔야겄다!
Track Listing

1. The Sick, the Dying... and the Dead!
2. Life in Hell
3. Night Stalkers
4. Dogs of Chernobyl
5. Sacrifice
6. Junkie

7. Psychopathy
8. Killing Time
9. Soldier On!
10. Celebutante
11. Mission to Mars
12. We'll Be Back
13. Police Truck (DEAD KENNEDYS cover)
14. This Planet's on Fire (Burn in Hell) (Sammy Hagar cover)

The Metal Opera I & II - Avantasia (2001 & 2002)

9/1/2022

 
그림
독일의 파워메탈 밴드 에드가이Edguy의 보컬이자 리더, 존재 그 자체인 천재 메탈 뮤지션 토비아스 사멧Tobias Sammet은 본격적인 침체로 향해가는 메탈씬에서 새로운 시도로 2000년대 초 분위기를 극적으로 반전시킨다. 보통 하나의 거대한 사건을 일으키는 인물은 별다른 생각 없이 충동적으로 일을 벌이는 경우가 많다. 끝까지 이끌어 혁명을 이끄는 소위 ‘좋은 놈’이거나, 개판내고는 자신이 선구자라며 거들먹거리기만 하는 ‘나쁜 놈’, 그리고 가장 많은 경우를 차지하는 일만 벌여놓고 어느새 잠수타거나 사라지는 ‘이상한 놈’으로 구성되는 놈놈놈이 이 세 가지 유형이다.
그림
2022년 기준 Avantasia 정식 멤버 구성:
Tobias Sammet (v, k, piano, orche, b)
Sascha Paeth (g)
Michael 'Miro' Rodenberg (k, orche)

​다행스럽게도 사멧은 일종의 ‘좋은놈’이다. 정확히는 능력이 너무나 출중한 나머지 본인의 밴드와 말도 안되는 인물들을 긁어 모아 시작한 아반타시아Avantasia라는 프로젝트 밴드 둘 모두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다. 그 와중에 과로와 피로 누적으로 오른쪽 귀의 청력을 상실하고 건강의 문제가 꾸준히 발생했지만, 결국 어떻게든 다 해내고 있다.
​아서왕 이야기의 아발론Avalon과 판타지아Fantasia를 합쳐 아반타시아Avantasia라는 밴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멧이 고안한 시도는 누구나 한 번쯤은 상상했을, 하지만 엄두내지 못했을 메탈로 이루어진 오페라의 제작이었다. 사실 오페라처럼 하나의 긴 스토리가 배경에 있는 작품을 만드는데는 메탈만큼 유리한 장르가 없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중세 이야기나 용이 날아다니고 괴물이 날뛰는 판타지, 우주SF와 코스믹 호러가 핵심인 것들, 디스토피아, 심지어 얼어붙을 정도로 추운 겨울날 생존하는 이야기까지 온갖 음울하고 도전적이며 고행스러운 가상의 이야기가 메탈의 주된 장치들인 만큼 무엇이든 만들고 무엇이든 쓸 수 있다. 
그림
아서왕 이야기에서의 아발론Avalon의 삽화. 중세 배경의 power metal을 들을 때 보면 좋다..
​사멧이 아반타시아의 첫 작품으로 낙점한 것은 더 메탈 오페라The metal opera라는 아주 직관적인 제목을 갖는 두 장의 앨범이었다. 첫 시도였으며 배경적인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사멧은 실존 인물도 몇 명 배역에 투입한다.
첫 번째로 끝없는 투쟁으로 가장 불행한 교황이라고도 꼽히는 클레멘스 7세Pope Clemens VII(올리버 하트만 역)였으며, 또 한 명은 마인츠의 대주교였던 요한 아담 폰 비켄Johann Adam von Bicken(롭 록 역)이다. 마녀사냥과 반종교개혁 등의 시기와 맞물려있던 만큼, 전체적인 핵심은 심판, 구원, 마녀사냥 등으로 짜여지기에 적당했다. 물론, 이 두 명의 역사적 인물이 실제적인 활동이나 평가에 의거한 배역 활용이 목적은 아니었으며, 현실성의 부여와 허구의 상대적 실제화를 위한 장치였다.
그림
그림
교황 클레멘서 7세의 초상화와 배역을 맡은 올리버 하트만
​올리버 하트만은 노래를 진짜 미친듯이 잘하는데 기타도 잘친다.. 아트 반체At Vance와 아이언 마스크Iron Mask에서 활동했었고, 현재는 본인의 이름을 딴 하트만Hartmann을 꾸리고 있다.
그림
그림
요한 아담 폰 비켄의 초상화와 배역을 맡은 롭 락
롭 락은 현재 본인의 이름을 딴 롭 락Rob Rock과 더불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임펠리테리Impellitteri에서 활동 중이다. 임펠리테리라는 이름을 들어본 적 없더라도 라디오에서나 티비에서 무조건 들어 보았을 것이다. 일렉 기타로 연주하는 오버 더 레인보우Over the Rainbow가 바로 이들의 음악이다.
​메탈 오페라의 이야기는 마인츠 수도원의 도미니카 수도회 초보 수사인 가브리엘 레이만Gabriel Laymann (토비아스 사멧 역)에 의해 풀려나간다. 가브리엘과 도미니카 수도회는 마녀사냥에 참여하게 되는데, 가브리엘의 친동생 안나Anna(샤론 덴 아델 역)을 만나며 마녀 혐의를 받는 안나를 생각하며 이야기가 발전한다. 금지된 책을 읽고 결국 멘토였던 브루더 제이콥Bruder Jakob(데이빗 데파이스 역)에 의해 감옥에 갇힌다.
그림
안나 역의 샤론 덴 아델

여성 보컬로 입지가 확고한 샤론 덴 아델
과거부터 위딘 템테이션Within Temptation에서 활동중이다.
타르야Tarja와도 상당한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공교롭게도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이지만 샤론 덴 아델과 타르야 모두 좋아하는 타입의 보컬리스트는 아니다.
그림
제이콥 역의 데이빗 데파이스

독학으로 작곡과 노래를 배워 유명.
물론, 활동하는 밴드는 아반타시아, 드림씨어터 등에 필적할 만큼 컨셉 앨범으로 유명한 버진 스틸Virgin Steele이다. 
이들의 아르테우스 연대기 (The House of Arteus - Act I & II)는 들어볼 만 한 명작.
​감옥에서 러게이드 반드로이Lugaid Vandroiy (미하엘 키스케 역)라는 드루이드를 만나 아반타시아라는 차원의 위기에 대해 이야기를 듣는다. 가브리엘은 러게이드를 도와 아반타시아를 구하기로, 그리고 러게이드는 가브리엘을 도와 안나를 구하기로 약속하고 비밀 동굴 속 차원문을 통해 아반타시아로 건너간다.
그림
러게이드 역의 미하엘 키스케

말이 필요 없다. 미하엘 키스케를 모른다면 파워 메탈을 들었다는 말을 하면 안된다.
헬로윈Helloween의 보컬이며 
과거 유니소닉Unisonic도 오래 활동했다.
​가브리엘이 넘어간 동안 비켄, 야콥, 집행관 팔크 폰 크론베르그(랄프 즈디아르스텍 역)은 교향 클레멘스 7세(올리버 하트만 역)을 만나기 위해 로마로 떠나며, 가브리엘이 읽다 구금되었던 금서를 확인한다. 이 책은 메탈 오페라 이야기를 관통하는 고대의 일곱 개 봉인 중 마지막 부분이었으며, 아반타시아 중앙탑에 가져가면 소유자가 절대적인 지혜를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이다.
그림
폰 크론베르그 역의 랄프 즈디아르스텍

미안하지만 잘 모른다! 
활동중인 생각나는 밴드가 없다..
아는 분은 알려주셔도 감사합니다.
​가브리엘은 아반타시아에서 엘데란Elderane (앙드레 마토스 역)이라는 엘프와 레그린Regrin (카이 한센 역)이라는 드워프를 만나 악의 세력, 교황의 은밀한 계획 등에 대한 숨겨진 이야기를 듣는다. 교황이 아반타시아에서 금서를 이용해 지식을 얻게 된다면, 아반타시아와 인간세상은 완전히 끊어지고 두 차원 모두에 악이 풀려나 파멸할거라는 끔찍한 비밀 말이다.
그림
엘프 엘데란 역의 앙드레 마토스 (R.I.P. 2019)

정말 좋아했던.. 앙드레 마토스.
 2019년 7월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앙그라Angra의 보컬이자, 본인의 이름을 딴 앙드레 마토스Andre Matos에서도 활동.
샤먼Shaman과 심포니아Symfonia, 바이퍼Viper 등에서도 활동했다.

메탈이 강세인 브라질 보컬리스트 중에서도 전설적인 인물.
그림
레그린 역의 카이 한센

기타와 보컬, 작곡까지 모든 것을 해내는 또 한 명의 천재 파워메탈 히어로.
감마 레이Gamma Ray에서 활동하며 헬로윈Helloween의 또 하나의 핵심이기도 하다.
아이언 세이비어Iron Savior라는 밴드와 유니소닉도 했는데 카이 한센이 끼어 들어가면 음악 퀄리티가 달라진다.
​2001년 발매된 메탈 오페라 1편에서의 스토리는 여기까지 진행된다. 당연히 뒷 이야기가 궁금할 수밖에 없고, 토비아스 사멧과 아반타시아를 응원하는 소리가 점차 커진다. 호응에 화답하듯 바로 1년 뒤인 2002년 메탈 오페라 II가 발매되는데, 모다 급진적으로 사건이 진행된다.
그림
​첫 번째 곡이자 14분에 달하는 곡이며,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곡 중 하나였었고 메탈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었을 (길이나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간에 끈 사람도 많지 않을까) ‘The Seven Angels’로 앨범은 시작된다. 아반타시아의 중앙탑에서 봉인이 풀리며 천사들이 내려와 세상을 파괴하기 시작한다. 문제는, 가브리엘이 봉인을 해제한 것이었고, 교황이 오히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분노를 와해하려 간청한다. 반드로이는 가브리엘이 인장을 훔치려 하는 것을 의심하기 시작한다. 다행인지 가브리엘은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봉인을 반환하며 일곱 천사들은 다시금 탑에 갇힌다.
그림
탑 속의 목소리라는 배역도 존재한다.
이를 맡은 티모 톨키

톨키 역시 파워 메탈을 들어 봤다면 모를 수 없는 인물. 우리나라 매체에서도 BGM으로 이들의 노래가 아주 많이 나오곤 한다.

현재는 본인 이름의 티모 톨키Timo Tolk​ki로 활동하며, 과거 스트라토바리우스Stratovarius와 심포니아, 티모 톨키의 아발론, 레볼루션 르네상스Revolution Renaissance로 활동했다.
이미 아반타시아 세상에 매료된 가브리엘은 엘더란이 인도한 대로 지식의 나무(밥 캐틀리 역)를 만나 여러 환상을 보게 된다. 레그린과 로마 지하묘지로 돌아가 감금된 영혼들을 구해내지만, 레그린은 거대한 짐승에게 죽게 되며 가브리엘은 가까스로 탈출한다. 영혼의 해방으로 두 세계의 안정이 다소 찾아오며, 가브리엘을 러게이드와 함께 안나를 구해낸다. 하지만 뒤늦게 지식을 탐해 찾아온 집행관 폰 크론베르그에게 러게이드는 죽고, 브루더 제이콥은 크론베르그를 죽인다. 앞서 가브리엘이 지식의 나무에게서 봤던 환상은 제이콥이 영원히 불 연못에 빠져 고통받는 모습이었으며, 결국 모든 일이 흘러갈 것이라 직감한다.

​모든 것을 뒤로하고 가브리엘은 동생 안나와 여행을 떠나며 이야기는 막을 내린다.

​다소 규모나 장치에 비해 끝이 밋밋하다 느낄수 있겠지만, 책이나 영화가 아닌 음악만으로 이루어진 작품에서 충분한 면이 있다. 오히려 반지의 제왕 3편의 여러 장면 각각의 마무리와 같이 하나의 클라이막스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같은 느낌으로 느껴진다. 프로도가 반지를 파괴한 장면, 원정대원과 재회하는 장면, 백색의 탑에서 추앙받는 장면, 그리고 발리노르로 떠나가는 장면 모두가 하나의 플롯의 결말이다. 사멧도 어느정도 이런 느낌을 기대하지 않았을까.
 
음악 면에서도 The seven angel는 흥미롭다. 퀸Queen도 아주 좋아하는 만큼, 색채나 무드가 다르지만 구성이 보헤미안 랩소디와 유사한 면도 있다. 오마쥬라느니 표절이라느니 그런 말이 필요 없다. 기승전결의 짜임새가 곡 하나에 들어있다는 동일성이 있을 뿐.
 
요즘 메탈 음악을 듣기 시작하며 갑자기 떠오르는 예전 기억 속 음악들을 하나씩 들어보고 있는데, 20년 전에, 그리고 10년 전에 들었을 때보다 지금이 더 절절하게 느껴지는 것은 단순히 내가 나이든 것일지 떠나고 싶은 것인지 모르겠다.

Days of the Lost - The Halo Effect (2022)

8/23/2022

 
그림
The Halo Effect의 첫 풀렝쓰 앨범이자 올해 최고의 앨범 10개를 꼽으라면
8월이 지나간는 시점에서 이미 포함될 것이 분명한 Days of the Lost다.
이미 작년부터 몇 개의 싱글 앨범을 발표했는데, 모두 다 괜찮아 기대했었고,
팀의 굿성 자체가 예전은 인플레임즈In Flames의 멤버들이니..

보컬 역시 인플레임즈에서 활동했고 지금은 다크 트랜퀼리티Dark Tranquility에서 활발하게 날뛰는 미카엘 스탠Mikael Stanne인 만큼 모든 것이 보장되었다. 스웨덴 밴드로 구성부터 근본까지 모두 예테보리 스타일의 멜로딕 데스 메탈일 테니 기대하지 않고 배길 소냐..
그림
Mikael Stanne (v)
Jesper Stromblad (g)
Niclas Engelin (g)
Peter Iwers (b)
​Daniel Svensson (d)
심지어 기복 없이 쩌는 음반을 찍어내던 오라클Whoracle과 콜로니Colony, 클레이맨Clayman 등의 앨범 시기에 활동했던 멤버들인만큼, 우리가 '멜로딕' '데스' 메탈에 기대하는 모든 것을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했다.
막상 앨범을 까 들어보니 완벽하다. 
전반적인 작곡의 핵심인 예스퍼Jesper Stromblad가 건재함이 느껴진다. 혼돈과 하락의 시기에 이르는 순간 팀을 떠났던 예스퍼가 무엇이 불만이었고 하고 싶은 음악이 무엇이었는지 다시 한번 느끼게 한다. 물론, 예스퍼가 원한 방향이 곧 우리가 인플레임즈에 원했던 방향이었고
그 결과는 완전 인플레임즈의 재탕고 아니고, 닥트랭의 숨막히는 진중함도 아닌 적합한 타협점에서 드러나고 있다.

멜데스를 듣는데 있어서 가장 불필요한 것은 구성이 어떻고 의미가 어떻고 철학이 어떤가를 말하는 것이다. 멜로딕함 그 자체로 장르의 색채가 완성되어 있으니 듣고 즐기기만 하면 되는 일이다. 이번 앨범은 그 목적에 완벽히 부합되니, 올 가을을 함께하기에 부족함 없는 명반이라 하겠다. 
Track Listing

1. Shadowminds
2. Days of the Lost
3. The Needless End
4. Conditional
5. In Broken Trust
6. Gateways
7. A Truth Worth Lying for
8. Feel What I Believe
9. Last of Our Kind
10. The Most Alone

Rashomon - Ibaraki (2022)

8/22/2022

 
그림
라쇼몽Rashomon은 그 자체로 하나의 아이콘인 명사다.
1950년작 일본 영화이며, 감독은 그 유명한 구로사와 아키라Akira Kurosawa
1951년 베니스 영화제 대상(황금사자상) 수상에 플래시백 기법의 도입부터 '라쇼몽 효과'라는 다각적 서술 기법까지 영화나 예술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 정도는 들어봤을 단어

과감히 라쇼몽이라는 앨범 타이틀을 달고 올해 풀렝쓰로 나온 앨범이 있었으니..
시대의 흐름을 잘 따라가지 못하고 구태한 과거 음악들에 빠져 사는 나에게는
굉장히 생소한 이바라키Ibaraki라는 밴드였다.

자국 문화를 사랑하는 일본의 밴드겠구나? 하는 나의 생각은
밴드 리더와 게스트 멤버들을 보는 순간 완전히 산산조각 났다.
그림
Matt Heafy (v, g, songwriting)
우선 대외적인 멤버는 매우 단촐하다.
1인으로 구성되어 기본적인 작곡 등을 모두 담당하고 게스트들로 꾸려진 밴드인데
리더가 맷 히피Matt Heafy다.  트리비움Trivium에서 초기부터 꾸준히 활동중인
이번에 처음 알게 된 것은 맷이 일본계 미국인이라는 사실. 라쇼몽이라는 앨범도 이해는 간다만,
음악을 들어보면 20세기 중반 영화의 색채보다는 굉장히 시원하고 프로글레시브하며 오케스트레이션이 여기저기 끼어있는 모던한 음악이었다.

게스트 멤버가 누구길래 이렇게 호들갑을 떨고 앉아있느냐..
우선 기타가 이산Ihsahn이다ㅋㅋㅋ 엠퍼러Emperor와 자신의 이름을 단 이산Ihsahn을 이끌고 있는 그 전설적인 인물. 엠퍼러에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기타와 일부 곡의 보컬을 맡았다.
게스트 보컬로 베헤모스Behemoth의 네르갈Nergal이 뒤따르고..
베이스는 본인 밴드에서 차출해 왔는지 트리비움의 그레골레토Paolo Gregoletto가 맡았다. 기타 역시 트리비움과 드래곤로드Dragonlord에서 활동중인 알렉스 벤트Alex Bent가, 다른 기타도 트리비움의 보리우Corey Beaulieu

게스트 보컬은 심지어 비 메탈 애호가들에게도 상당히 인기있는 마이 케미컬 로맨스My chemical romance의 제라르드 웨이Gererd Way가 참여하고 있으니..

요약하자면 맷이 자기 하고 싶은 음악 있으니 친구들과 친한 본좌들 데려다가 신나는 메탈코어 한 판 땡기실래요? 해서 얼싸좋다 하고 만든 앨범이란 소리.
그림
사실 메탈코어를 즐겨 듣지는 않는 편이다. 라쇼몽 영화도 기억이 잘 안난다. 
비내리고.. 나생문(라쇼몽) 아래서 살인 사건 이야기 등을 나누던 것 외에는.

이런 대단한 양반들이 모였으니 음악은 당연히 듣기 좋다만
앨범 전체를 쭉 다 이어 들으면 조금 늘어지거나 지치는 기분이 뒤로 갈수록 커지는 듯
좋긴 엄청 좋다. 올해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꼽힐 자격이 충분..
Track Listing

1. Hakanaki Hitsuzen
2. Kagutsuchi
3. Ibaraki-Doji
4. Jigoku Dayu
5. Tamashii no Houkai
6. Akumu
7. Komorebi
8. Ronin
9. Susanoo no Mikoto
10. Kaizoku
<<Previous

    Archives

    September 2022
    August 2022
    May 2022
    April 2022
    March 2022

Proudly powered by Weebly
  • Home
  • Hongje Jang
    • My activities
    • About music
    • About book
  • member
    • Alumni
  • Research
  • Publications
  • Contact